‘벨벳 언더그라운드’ 1집 [ 바나나 앨범 ] – 01. 앤디 워홀 & 팝 아트

🎨   명화가 된 앨범아트 3 . 벨벳 언더그라운드 [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1967 ]

  1. 팝 아트 + 록 음악의 만남 : 앤디 워홀이 디자인한 앨범아트
  2. 저평가 & 재평가 : 시대를 앞서간 ‘노란 바나나’

‘벨벳 언더그라운드’ 하면 떠오르는 [ 바나나 앨범 ]의 정식 명칭은 ‘The Velvet Underground & Nico’입니다. 앨범 커버에 그려진 ‘노란색 바나나’ 이미지가 워낙 강렬해 많은 사람들이 ‘바나나 앨범’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앨범을 들어본 적 없는 사람도 바나나 한개가 그려진 앨범아트를 보면 ‘아하!’하고 알아볼 정도로 유명한 디자인입니다. 이 강렬한 바나나를 그린 사람은 팝 아티스트 ‘앤디 워홀 Andy Warhol’입니다. 그의 감각적인 팝 아트 스타일이 ‘벨벳 언더그라운드’ 데뷔 앨범 커버 디자인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됩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든든한 후원자 ‘앤디 워홀’

앤디 워홀은 앨범의 프로듀서로 기록되어 있지만, 음악보다는 후원과 기획, 그리고 시각디자인 부분에 더 많이 참여했습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 실험을 적극 응원해준 후원자 앤디 워홀은, 자신의 작업실 (더 팩토리)에서 밴드가 자유롭게 곡을 만들고 녹음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했다고 전해집니다.
당시 ‘대중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던 무명 밴드가, 인기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들의 음악 세계를 그려나가도록 앤디 워홀의 후원은 매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앤디 워홀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니코

앤디 워홀의 참여 :

  • 밴드의 이미지 메이킹 및 앨범 커버 디자인
  •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후원자로, 밴드의 음악 실험을 격려
  • 정규 1집 제작과 앨범 수록곡들에 대해 조언과 아이디어를 공유
  • 자신의 작업실 ‘팩토리 The Factory’에서 자유롭게 녹음 세션을 진행하도록 지원
  • 독일 모델 출신 가수 니코 Nico를 보컬로 추천 →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앤디 워홀은 일반적인 음악 프로듀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밴드를 지원했지만, ‘벨벳 언더그라운드’ 멤버들은 [ 바나나 앨범 ] 뒷면에 그의 이름를 ‘프로듀서’로 표기합니다.

 

앤디 워홀의 ‘노란 바나나’ & 팝 아트

 

[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 앨범 커버에는 ‘노란 바나나’가 하나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꼭지 부근에는 작은 글씨로 “◀ Peel slowly and see 천천히 벗겨보세요”라고 적혀있습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 - 바나나 앨범 - 앤디 워홀 - 스티커

“천천히 벗겨보세요” 

(초기 발매) 앨범 커버의 바나나 그림은 껍질을 손으로 벗길 수 있게 스티커로 마감 되있습니다. 그리고 ‘노란색’ 껍질(스티커)을 벗기면 그 아래 ‘핑크색’으로 칠해진 바나나의 속살이 드러납니다.

스티커를 벗기는 체험 

벨벳 언더그라운드 - 바나나 앨범 - 스티커앨범이 공개되자 ‘스티커를 벗기면 드러나는 핑크색’을 재치 있는 유희로 여긴 사람과 저속한 음담패설로 받아들인 사람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후자의 의견이 더 큰 목소리를 내면서 선정성 논란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현재는 관객과 상호작용 하는 예술의 좋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스티커를 벗기는 행동은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마치 예술 작품에 직접 손을 대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스티커를 벗기는 간단한 행동 하나가 = 작품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특별한 경험으로 이어지는 워홀의 디자인은 ‘예술 소비’와 ‘대중 체험’을 하나로 연결한 시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작품을 소비자가 직접 ‘완성’한다?

[ 바나나 앨범 ]의 커버는 1967년에 디자인되었습니다. 그동안 많은 작가들이 ‘참여’라는 단어에 의미를 진지하게 고민해 왔습니다. 앤디 워홀의 시도는 좋은 본보기가 되어줍니다.
그러나 소비자는 앤디 워홀이 마련한 길을 따라갈 뿐입니다. 참여자는 하나의 길을 한 방향으로 걷게 됩니다.
‘미술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관람자가 직접 참여한다’는 말에는 이처럼 많은 시사점을 품고 있습니다.

제작비 상승

벗겨지는 스티커’는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디자인입니다.
일반적인 커버 제작은 한 번의 인쇄로 완료되는 반면, ‘벗겨지는 스티커’는 다음과 같은 추가 공정이 필요합니다.

  • 별도로 바나나 껍질을 인쇄하고,
  • 후면에 접착 처리를 한 후,
  • 바나나 모양으로 컷팅까지 해야합니다.
     
  • 게다가 쉽게 벗겨지도록 하려면 일반 접착제가 아닌 (포스트잇 처럼) 붙였다 뗄 수 있는 접착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 또한, ‘바나나 스티커’는 사람이 하나하나 손으로 부착한 후 포장해야 합니다.

제품 제조 과정에서 공정이 하나둘씩 추가되면 비용은 자연스럽게 증가합니다. 특히 기계를 이용한 대량생산에서 사람이 손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제작자는 해당 디자인을 제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행히도 [ 바나나 앨범 ]의 제작자는 ‘앤디 워홀’ 자신이었습니다.

앤디 워홀은 ‘밸벳 언더그라운드 1집’의 성공을 확신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보다는 앤디 워홀의 직업이 ‘아티스트’였다는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일반적인 음반 제작자라면 “예술하고 있네”라며 제외 했을 공정을, 앤디 워홀은 직접 디자인하면서 큰 즐거움을 느꼈을 것입니다.

앤디 워홀의 작업은 “대량 복제 문화의 아이러니를 드러내면서도, 동시에 대량 소비 시스템 속에서 본인 스스로 스타로 거듭난 자기 구현적 행위”   「Kunstforum International」 

 

스타 아티스트 ‘앤디 워홀’의 시그니처 스타일

앤디 워홀은 이미 예술계의 스타였습니다.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과 파격적인 행보로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은 친숙한 아티스트였습니다. [ 바나나 앨범 ]의 앞면이 ‘Velvet Underground’가 아닌 ‘Andy Warhol’이 크게 인쇄되어 있는 것을 보면, 앤디 워홀의 명성 자체가 앨범 홍보에 중요한 부분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앤디 워홀 - 팩토리 - 실크스크린 - 팝 아트
자신의 작업실 ‘팩토리’에서 실크스크린 중인 앤디 워홀
“모든 것이 예술이다. 희귀한 것만 예술이 아니라 흔한 것도 예술이 될 수 있다”

앤디 워홀은 세제 박스, 통조림 캔, 할리우드 스타의 사진처럼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들로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대량 생산 방식’을 연상케 하는 반복 패턴, 실크스크린 기법을 도입해 자신만의 팝 아트 기법을 확립 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그가 자신의 작업실을 ‘The Factory’라고 부른 것은 의미심장 합니다.

“앤디 워홀의 팝 아트 작품은 생산되고 소비되는 모든 시각 이미지를 예술의 재료로 사용, 순수예술과 상업미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예술의 외연을 확장 했다”

“소비사회의 풍경을 미술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대중문화와 고급예술의 경계를 흐리는 독창적 시도를 했다”   「ARTnews」

앤디 워홀 - 캠벨 수프 캔 - 팝 아트
앤디 워홀 [캠벨 수프 캔, Campbell’s Soup Cans, 1962, 실크스트린, 41×51㎝, 뉴욕 · MoMA 미술관 ]

전시장에 들어서면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통조림 수프 캔 그림이 여러 장 걸려 있습니다. 예술을 ‘가치 있고 진지한 것’으로만 생각하던 사람들의 통념을 깨고, 소비재도 예술이 될 수 있다는 파격적인 선언이었습니다.

→ 팝 아트 – 레디메이드 & 반복 : 앤디 워홀 [ 캠벨 수프 캔, 1962 ]

‘30개의 수프 캔’ 시리즈를 반복적으로 배치해서 소비사회의 작동 방식과 예술의 문법을 융합

앤디 워홀은 ‘당대 광고 산업의 시각 언어를 예술로 치환한 선구자’   「Beaux Arts Magazine」

팝아트가 단순히 ‘재미있는 대중 디자인’이 아닌,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거울” 역할을 하고있다   「Arts Magazine」

“20세기 미술계에 던진 과감한 질문이며, 산업사회에서 상품과 예술의 경계를 해체한 선구적 시도”   「Artforum」

앤디 워홀의 스타일은 [ 바나나 앨범 ]에서도 그대로 드러납니다. (일상의 사물) 바나나를 예술의 맥락으로 끌어와 과감하게 사용하는 팝 아트의 특징이 커버 디자인에 그대로 나타나 있습니다.

 

팝 아트 + 록 음악 

앤디 워홀은 1964년 뉴욕 맨해튼 이스트 47번가에 창고 형태의 작업실을 임대합니다. 내부를 알루미늄 포일과 은색 물감으로 단장된 작업실은 ‘The Factory’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공개됩니다.

앤디 워홀의 작업실 ‘The Factory’

우리에게 친숙한 마릴린 먼로, 엘비스 프레슬리, 캠벨 수프 캔 등이 많은 작품들이 이곳 ‘팩토리’에서 ‘생산’ 되었습니다.

앤디 워홀 - 팩토리 -The Factory

앤디 워홀은 ‘팩토리’를 자신만의 작업실로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크고 작은 파티와 모임이 자주 열린 ‘팩토리’에는 다양한 계층과 분야의 사람들의 왕례가 이어졌습니다. ‘팩토리’에는 앤디 워홀이 없더라도 화가, 시인, 가수, 모델, 디자이너, 연예인, 성소수자, 마약중독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의견을 교류하는 일종의 문화 허브이자 사교모임이 벌어지는 핫플레이스가 되어갑습니다.

‘팩코리’의 힙하고 신선한 이미지는 문화 예술계 사람들을 매료시켰고, 언제나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앤디 워홀이 작업 중인 커다란 실크스크린들이 한쪽 벽에 늘어서 있고, 다른 한켠에서는 열띤 토론이, 또 다른 구석에선 사진과 영화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 했습니다. 파티가 열린 아래층에는 길을 걷다 커다란 음악 소리에 이끌려 들어온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고 전해집니다.

통념과 경계를 넘은 콜라보레이션

앤디 워홀은 ‘팩토리’에서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의 어울리면서, 다양한 창작 활동을 펼쳤습니다.


영화 [ 팩토리 걸, 2006 ]

  • 실험 영화 제작 : Sleep, 1963, 첼시 걸즈 Chelsea Girls, 1966, 블루 무비 Blue Movie, 1969
  • 사진 작업 : 앤디 워홀은 팩토리에 방문한 사람들을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촬영해 작품으로 활용
  • 화가, 시인, 음악가 등 뉴욕의 언더그라운드 아티스트들과의 협업
  • 음악 활동 : 뉴욕의 음악가들이 모여 공연과 협업을 진행,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데뷔 앨범 프로듀싱
  • ……
‘뮤지션 + 비주얼 아티스트’의 콜라보

뮤지션과 비주얼 아티스트의 협업은 당시 매우 생소하면서도 신선한 시도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앤디 워홀’이 프로듀싱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데뷔 앨범 입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실험적인 음악과 워홀의 파격적인 시각 예술의 결합은 오늘날까지도 회자되는 뮤지션 + 비주얼 아티스트의 협업 사례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앤디 워홀 &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만남이 하나의 견고한 ‘콜라보레이션 문화’를 정초했다”   「Rolling Stone」

“팝 아트와 록 음악이 한 장의 LP로 결합되어, 예술 장르 간의 협업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음악 전문지 「 NME 」

“팝 아트 정신이 순수미술의 영역을 넘어 음악 산업에도 충격파를 던진 사건”   「Artforum」

앨범아트 작업은 앤디 워홀이 음악 산업까지 활동 범위를 넓힌 사례로, 이후 다양한 뮤지션이 유명 미술가에게 커버 디자인을 의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시대를 앞서간 ‘노란 바나나’ : 대중과 평단의 외면

“록의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앨범 중 하나”   「Rolling Stone」

[ 바나나 앨범 ]은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찬사를 받았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앨범 발매 당시 파격적인 음악과 분위기에 심취한 팬들의 환호가 있었지만, 그들은 소수였고 다수의 대중과 평론가들의 환영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3만 장이라는 저조한 판매를 기록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에 매료된 사람들이 하나둘 늘어갑니다.

“처음 나왔을 때 3만 장밖에 팔리지 않았지만, 그 3만 명이 모두 밴드를 결성했다.”   브라이언 이노 Brian Eno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바나나 앨범 ] 2편 : 저평가 & 재평가 : 시대를 앞서간 ‘노란 바나나’